[회계기초] 계정과목의 의미와 분류, 기입방법
재무상태표나 손익계산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기초가 되는 회계계정에 대해 알아 보려고 합니다. 계정과목은 무엇이고 어떻게 기입하는 것이며 계정과목을 사용했을때 어떤 점이 유리한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정과목이란? 거래가 발생하면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의 증감 및 수익,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단순히 자산이 얼마만큼 증가하고, 부채가 얼마만큼 감소하였으며, 또 수익이 얼마만큼 발생하였다는 식으로 기록하면 거래의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자산을 현금, 상품, 매출채권, 건물 등으로 나누는 것 처럼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에 대하여 구체적인 항목을 세워서 기록, 계산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때 각 항목별로 설정된 기록, 계산의 단위를 계정이라고 하고 현금계정, 상품계정 등과 같..
2024. 2. 20.
[회계기초] 거래와 거래 8요소에 대해 알아볼게요.
회계상의 거래와 일반적인 거래의 유형이 따로 있는 것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회계에서 이야기하는 거래에 대해 함께 알아보려고 합니다. 거래란 무엇인가? 기업이 영업활동을 하기 위해 영업자금이 필요로 할때 기업주 자신이 마련하거나 은행으로부터 빌리게 됩니다. 이 영업 자금은 영업활동에 필요한 건물, 비품 등을 구입하고 여러 가지 경비를 지급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업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고객들이 원하는 상품을 매입하고, 매입한 상품을 판매하는 활동을 끊임없이 수행하게 됩니다. 기업이 현금의 차입, 건물이나 비품의 구입, 상품의 매매 등과 같은 경영활동을 하게 되면 자산, 부채, 자본의 증감과 수익과 비용이 발생하는데, 이와 같이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의 증감변화를 일으키는 ..
2024. 2. 19.
[회계기초]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회계연도
오늘은 회계의 가장 기본이 되는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그리고 회계연도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대차대조표는 무엇이고 손인계산서는 무엇이며 그 작성 기준이 되는 회계연도는 어떻게 정해지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차대조표] 자산, 부채, 자본 기업이 경영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재화가 필요하며 그 경영활동에 따라서 각종의 채권을 가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상품을 외상으로 판매한 경우에 발생한 채권을 매출채권이라 하고, 현금을 다른 사람에게 빌려 준 경우에 생기는 채권을 대여금이라고 부른다.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현금, 상품, 비품, 건물, 토지 등의 재화와 매출채권, 대여금 등의 채권을 자산이라고 한다. 기업은 경영활동에 따라서 미래의 제3자에게 현금을 지급해야 하는 채무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
2024.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