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상태표나 손익계산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기초가 되는 회계계정에 대해 알아 보려고 합니다. 계정과목은 무엇이고 어떻게 기입하는 것이며 계정과목을 사용했을때 어떤 점이 유리한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정과목이란?
거래가 발생하면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의 증감 및 수익,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단순히 자산이 얼마만큼 증가하고, 부채가 얼마만큼 감소하였으며, 또 수익이 얼마만큼 발생하였다는 식으로 기록하면 거래의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자산을 현금, 상품, 매출채권, 건물 등으로 나누는 것 처럼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에 대하여 구체적인 항목을 세워서 기록, 계산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때 각 항목별로 설정된 기록, 계산의 단위를 계정이라고 하고 현금계정, 상품계정 등과 같이 계정에 붙이는 이름을 계정과목이라고 합니다.
기업은 업종의 특성이나 거래의 발생신도 등을 고려하여 기업 자체의 필요에 따라 계정을 설정할 수 있는데 이때 설정하는 계정과목은 계정의 성질을 명확히 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거래의 빈도가 많고 금액이 큰 것은 별도로 계정과목을 설정하고, 빈도가 적고 금액이 작은 것은 적절하게 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계정과목의 분류
계정은 자산계정, 부채계정, 자본계정, 수익계정, 비용계정으로 분류 되는데 대차대조표에 기재되는 자산, 부채, 자본에 속하는 계정을 대차대조표계정이라고 하며 손익계산서에 기재되는 수익과 비용에 속하는 계정을 손익계산서 계정이라고 합니다.
대차대조표계정은 다시 자산계정과 부채계정, 자본계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산계정에는 현금, 매출채권, 대여금, 상품, 비품, 건물, 토지 등이 있고 부채계정에는 매입채무, 차입금 등이 있으며 자본계정에는 자본금 등이 있습니다.
손익계산서계정에는 수익계정과 비용계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수익계정은 상품매출이익, 이자수익, 수수료수익등이 있고 비용계정에는 급여, 보험료, 여비교통비, 임차료, 이자비용 등이 있습니다.
계정의 형식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연습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은 T계정양식입니다. T계정양식은 좌우 두개의 계산장소로 나누어져 있어 계정의 왼쪽을 차변(debit : Dr), 오른쪽을 대변(credit : Cr)이라고 합니다.
계정의 기입 방법
모든 거래는 계정이라는 형식에 기입하여 계산하는데 차변과 대변 두 장소에 나누어 기입하게 됩니다.
자산은 대차대조표의 차변(왼쪽)에 기입하므로 그 증가를 자산계정의 차변에 기입하고 감소를 대변에 기입합니다. 반면에 부채와 자본은 대차대조표의 대변(오른쪽)에 기입하므로 증가를 대변에 기입하고 감소를 차변에 기입합니다. 거래가 발생했을때 차변에 기입하는 것을 차변기입 또는 차기라고 하고 대변에 기비하는 것을 대변기입 또는 대기라고 합니다.
계정에 의한 계산방법은 수입의 합계와 지출의 합계를 즉시 알아 볼 수 있으며 현금잔액도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한 계산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게정에 의한 계산방법으로 자산, 부채, 자본의 증감사항을 기록하면 자산계정의 잔액은 차변에 생기고 부채계정과 자본계정의 잔액은 대변에 생기게 됩니다.
비용은 손익계산서의 차변(왼쪽)에 기입하므로 비용이 발생하면 차변에 기입하고 소멸하면 대변에 기입합니다. 또 수익은 손익계산서의 대변(오른쪽)에 기입하므로 수익이 발생하면 대변에 기입하고 소멸하면 차변에 기입하게 됩니다. 수익계정은 잔액이 대변에 생기며 비용계정은 잔액이 차변에 생기게 됩니다.
대차평균의 원리
거래의 이중성에 따라 모든 거래는 반드시 어떤 계정의 차변과 다른 계정의 대변에 같은 금액이 기입되므로 아무리 많은 거래가 기입되더라도 계정 전체를 놓고 보면 차변금액의 합계와 대변금액의 합계는 반드시 일치하게 되는데 이것을 대차평균의 원리라고 합니다.
대차평균의 원리에 의해서 전계정의 차변합계액과 대변합계액을 상호 비교하여 일치하는가를 확인함으로써 기록, 계산의 정확성 여부를 자동적으로 검증할 수 있게 됩니다. 만약 합계액이 틀린 경우 어딘가에서 계산이나 기록이 잘못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자동적 검증기능은 복식부기원리의 뛰어난 장점 중 하나 입니다.
오늘은 재무상태표를 작성하기 위한 기본 개념으로 계정과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계정과목은 무엇이며 어떻게 기입하고 계정과목을 사용했을때 어떤점이 좋은지 알아봤는데요. 회계 공부를 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회계 기초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기초] 상품계정 분할과 감가상각 종류 총 정리 (0) | 2024.04.13 |
---|---|
[회계기초] 결산 및 시산표 회계 장부 마감과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의 작성 (0) | 2024.04.13 |
[회계기초] 분개장과 총계정원장 (0) | 2024.04.12 |
[회계기초] 거래와 거래 8요소에 대해 알아볼게요. (0) | 2024.02.19 |
[회계기초]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회계연도 (1)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