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계정을 분할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감가상각의 의의와 종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합니다.

상품계정의 분할
상품매매기업의 가장 중요한 영업활동은 상품을 매입하고 매입한 상품을 판매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품매매에 관하여 잘못 기재한다면 상품매출이익만을 알 수 있을 뿐 상품매출액과 매출원가에 관한 내용은 모르게 된다. 또한 상품을 판매할 때마다 판매된 상품의 원가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불편한 점이 있다. 물론 상품매매의 빈도수가 많지 않은 값비싼 귀금속 등은 그렇게 할 수도 있으나 상품의 종류가 많고 매매건수가 빈번한 경우에는 매출할 때마다 상품매출이익을 계산한다면 너무나 번거롭고 필요 이상의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상품의 매출액과 매출원가를 알 수 있도록 기록하고 상품의 매매손익을 기말결산시에 일괄해서 처리해야 편리해진다.
상품매출액과 매출원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상품계정을 상품계정, 매입계정, 매출계정의 3계정으로 분할하여야 한다. 이를 3분법이라고 하는데 상품계정을 3분법에 따라 분할하는 경우 상품계정은 기초상품재고원가나 기말상품재고원가를 매입계정에서는 상품의 당기상품순매입원가를 매출계정에서는 당기매출액을 기록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상품에 대한 매출원가는 상품매출시마다 기록하지 않고 기말수정분개를 통하여 산출된다는 것이다. 즉 기중에 상품매입 시와 매출 시에 같이 기록하였다면 결산시 시산표상의 상품계정은 기초상품재고원가를 의미하며 매입계정은 당기상품순매입원가를 나타낸다. 따라서 시산표상의 자료를 토대로 기말수정분개를 통하여 당기매출원가를 구하여야 하는데 매출원가는 기초상품재고원가에 당기상품순매입원가를 가산하고 기말상품재고원가를 차감하여 산출하므로 기말수정분개를 하여 매출원가를 도출하게 된다.
매출원가 = 기초상품재고원가 + 당기상품순매입원가 - 기말상품재고원가
수정후시산표상에 상품계정은 기말상품재고원가를 나타내고 매출원가계정은 당기 매출원가를 의미한다. 이 수정후시산표를 토대로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면 손익계산서에서는 당기상품매출액과 매출원가가 나타나게 되어 상품매출이익만을 표시할 때보다 훨씬 유용한 손익계산서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상품매출이익을 상품 판매시마다 계산하지 않고 기말결산시에 일괄해서 처리하므로 상품매매에 대한 장부기록이 한결 간편해진다.
감가상각
기업이 영업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토지, 건물, 기계장치, 비품 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자산의 특징은 영업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라는 것과 토지를 제외한 건물, 기계장치, 비품 등은 한정된 수명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토지를 제외한 건물, 기계자치, 비품 등은 사용 또는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그 가치가 점차 감소하는데 이를 해당 자산의 수명이 다하는 기간 동안 비용으로 인식하는 것이 적정한 기간손익을 구하기 위해서는 타당할 것이다. 이와 같이 건물, 기계장치, 비품 등의 취득원가를 그 자산을 사용할 기간 동안 각 회계연도에 배분하여 비용으로 계상하는 것을 감가상각이라 하고 각 연도에 배분된 비용을 감가상각비라고 한다.
건물, 기계장치, 비품에 대한 가치의 감소는 부지불식간에 시시각각으로 발생하는데 이것을 발생과 동시에 기록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그 기간 동안에 일어난 감가상각 총액을 결산시에 기말수정분개를 통하여 한 번에 기록한다. 이러한 감가상각비의 회계처리방법에는 직접법과 간접법이 있다.
직접법은 감가상각액을 감가상각비계정의 차변에 기입하는 동시에 당해 자산계정의 대변에 기입하여 직접 해당 자산의 가액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취득 후 상당기간이 지나면 취득원가를 알 수 없고 취득 후 현재까지의 가치감소액(이를 감가상각누계액이라 한다)도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대차대조표일 현재 기계장치의 가치만을 알 수 있을 뿐 취득원가와 감가상각누계액은 알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감가상각에 대한 회계처리는 일반적으로 후술 하는 간접법을 사용한다.
간접법은 감가상각액을 감가상각비계정의 차변에 기입하고 대변에 감가상각누계액 계정을 설정하여 기입하는 것으로 해당 자산을 감가상각누계액계정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그리고 감가상각누계액을 대차대조표에 표시할 때에는 취득원가 밑에 차감하는 형식으로 기재한다. 감가상각누계액은 대변잔액이므로 수정후시산표에는 대변에 나타나지만 이를 대차대조표에 표시할 때에는 해당 자산의 취득원가 밑에 차감하는 형식으로 기재한다. 간접법으로 감가상각에 대한 기장을 할 경우에는 해당 자산의 취득원가와 감가상각누계액을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회계 기초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기초] 주식회사 특징 및 회계 정보 이용자 총 정리 (0) | 2024.04.13 |
---|---|
[회계기초] 손익의 결산정리와 소모품 처리 이익이영금 계정 총 정리 (0) | 2024.04.13 |
[회계기초] 결산 및 시산표 회계 장부 마감과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의 작성 (0) | 2024.04.13 |
[회계기초] 분개장과 총계정원장 (0) | 2024.04.12 |
[회계기초] 계정과목의 의미와 분류, 기입방법 (0)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