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자가 본지점으로 나뉘어 있는데 4대보험 업무를 한곳에서 하는 경우 종종 본지점을 혼동하여 신고할때가 있는데요. 이럴때 어떻게 4대보험 취득신고를 취소하고 정정해야 할지 막막하실것 같아요.
오늘은 저의 경험을 토대로 4대보험 직장가입자 취득신고 취소 방법과 본지점 오류 신고 정정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비슷한 상황에서 방법을 찾고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건강보험 EDI로 4대보험 한꺼번에 신고했는데 취소도 한꺼번에 할 수 있나요?
"건강보험, 국민연금은 한꺼번에 취소할 수 있으나 고용보험, 산재보험은 따로 취소해야 해요."
저희 회사는 4대보험 신고를 건강보험 EDI를 통해 한꺼번에 신고 하고 있는데요. 본지점 오류 신고로 인해 취득신고를 취소 할때는 건강, 국민과 고용 산재 각각 신고해야 합니다. 조금 번거롭게 느껴졌으나 잘못 신고한 내 탓이려니 하고 방법을 확인해 보기로 합니다.

- 문의처 : 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1577-1000
- 문의처 : 국민연금 EDI 고객센터 063-713-6565 / 국민연금관리공단 1355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은 당초 신고했던 건강보험EDI에서 한꺼번에 취득신고를 취소할 수 있어요. 문의처에 유선으로 물어봤을때도 같은 답변을 받았고, 건강보험 EDI에서 자격취소 신고를 진행할때도 팝업으로 내용을 안내해 주더라구요.
14일 이전에 취소하는 경우에는 『직장가입자 자격상실 신고서』만 작성하면 되고 그 이후 신고하는 경우에는 근로자가 동의한다는 자필 서명의 근로자 확인서를 함께 첨부해서 신고해야 합니다. 저는 14일 이전 취소라서 직장가입자 자격상실 신고서만 작성하여 진행하였어요.

- 신청 구분 : 건강보험만 체크- 상실일 : 당초 최득일- 상실 부호 : 16. 취득취소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모두 자격상실 신고서에 취득취소로 작성하여 신고하였는데 국민연금은 반송처리 되었더라구요. 사유를 확인해 보니 취득취소는 담당자 확인 후 처리한다는 내용이었어요. 그래서 관할 국민연금 담당자분께 전화하여 문의드리기로 합니다.
관할 국민연금 담당자분과 통화를 했는데 확인 후 처리해야 하는 서식이라서 그렇게 처리 된것이라고 하네요. 확인 후 문제가 있으면 다시 연락주시기로 하시고 별도 추가로 신청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셨어요.

- 문의처 : 고용 산재보험 토탈서비스 고객센터 1588-0075

고용보험, 산재보험은 고용, 산재 토탈서비스에서 취득 취소 진행할 수 있으며 신청할 서류명은 『피보험자, 고용정보 내역 취소 신청』입니다. 신청서를 작성할 경로는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 민원접수/신고 -> 자격관리 -> 피보험자,고용정보 내역 취소 신청 으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 신고구분 : 취득취소
- 보험구분 : 고용보험, 산재보험 둘다 선택
- 취소사유 : 관리번호 착오 신고
대상직원의 생년월일을 입력하였더니 이름과 대상일은 자동으로 불러와지더라구요. 이렇게 내용을 기입하고 신고서를 전송하면 취득취소가 완료됩니다.
이렇게 4대보험 자격취득신고 취소를 완료하였어요. 정정신고는 자격취득신고를 취소한 후 정상적으로 다시 한번 자격취득신고를 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4대보험 관련 업무로 직장 가입자 자격 취득 취소 신고 혹은 정정 신고를 알아보고 계신분들께 도움이 되는 포스팅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